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투자 기초지식29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식 초보자들이 PER 다음으로 자주 듣는 용어가 바로 PBR입니다.숫자만 보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꽤 직관적인 개념이에요.쉽게 말해, 회사가 가진 자산 대비 주식이 얼마나 비싸게 팔리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 to Book Ratio)는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로 계산됩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현재 주가 ÷ BPS 여기서 BPS(Book Value Per Share) 주가순자산가치는 회사의 순자산(자산 – 부채)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이에요. ✅ 예시어떤 기업의 순자산이 1,000억 원이고, 주식 수가 1,000만 주라고 해봅시다. 그러면 BPS는 1만 원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 회사의 주가가 20,000원이라면? PBR = 20,000.. 2025. 6. 13.
EPS 주당순이익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쉽게 말하면, 어떤 회사가 1년 동안 1억 원을 벌었고 주식이 10만 주 있다면,주당순이익은 주당 1,000원이 되는 거죠.이 수치는 투자자에게 굉장히 중요한 기준이에요. 왜냐하면 내가 가진 한 주당 실제로 벌어들이는 '수익력'을 보여주는 거니까요.주당순이익은 왜 중요한가?단순한 숫자 이상으로 회사의 수익성과 주식의 가치를 동시에 나타내주는 핵심 지표입니다.특히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이라면 EPS가 높다는 건 곧 더 많은 배당금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해요.계산법EPS =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 수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당기순이익으로 5억 원을 벌었고, 발행 주식 수가 50만 주라면? .. 2025. 6. 13.
PER 주가수익비율 PER = Price to Earnings Ratio 즉,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부릅니다. 한 마디로 “이 기업의 주가가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또는 싼 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PER의 핵심 개념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쉽게 풀면: “이 회사가 지금 버는 이익을 기준으로 보면, 주가가 이익의 몇 배냐?”를 계산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요: 예시 1: A회사의 주가: 10,000원A회사의 1주당 순이익(EPS): 1,000원 PER = 10,000 ÷ 1,000 = 10 이 뜻은? “A회사는 1년에 주당 1,000원 이익을 내고 있고, 현재 주가는 10배 비싼 10,000원이다.” 즉, “이 회사를 사면 이익 기준으로 10년 뒤에 본전이다.” 이런 의미로 볼 수 있어요. P.. 2025. 6. 13.
ETF 상장지수펀드 ETF, 상장지수펀드란 쉽게 말해 ‘주식 꾸러미’입니다.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말 그대로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는 펀드”입니다. 쉽게 말해서, 여러 종목의 주식을 한데 묶어 놓은 바구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TIGER 코스피 200 ETF →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LG화학 등 코스피 상위 200개 종목이 들어있는 바구니 KODEX 코스닥150 ETF→ 코스닥의 주요 150개 기업이 들어있는 바구니 여러 주식을 한꺼번에 들고 있는 셈이기 때문에, 한 종목이 떨어져도 다른 종목이 받쳐줘서 위험이 분산됩니다. 이게 상장지수펀드의 가장 큰 장점이에요. ETF의 5가지 핵심 특징1️⃣ 분산 투자개별 주식 하나하나 고르기 어렵잖아요? ETF는 전문가들이 골.. 2025. 6. 13.
코스피 코스닥 초보 주식 투자 주식에 처음 입문하셨다면 코스닥(KOSDAQ)과 코스피(KOSPI)의 차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출발점입니다.이 둘은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양대 축으로, 각각의 성격이 다르고 투자 방식도 달라집니다.지금부터 아주 쉽게, 꼭 필요한 핵심만 콕 짚어드릴게요.코스피(KOSPI)란?코스피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줄임말로, 대한민국 대표 기업들이 상장된 시장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현대차, LG화학 같은 대기업이 여기에 속해 있어요.기업 규모: 대기업, 우량주 중심특징: 안정성 중심, 배당을 주는 기업도 많음투자 성향: 중장기 투자, 안정 추구하는 사람에게 적합코스닥(KOSDAQ)란?코스닥은 미국의 나스닥(NASDAQ)을 본떠 만든 시장입니다.성장 가능성이 높은 벤처.. 2025.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