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쉽게 말하면, 어떤 회사가 1년 동안 1억 원을 벌었고 주식이 10만 주 있다면,
주당순이익은 주당 1,000원이 되는 거죠.
이 수치는 투자자에게 굉장히 중요한 기준이에요.
왜냐하면 내가 가진 한 주당 실제로 벌어들이는 '수익력'을 보여주는 거니까요.
주당순이익은 왜 중요한가?
단순한 숫자 이상으로 회사의 수익성과 주식의 가치를 동시에 나타내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특히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이라면 EPS가 높다는 건 곧 더 많은 배당금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해요.
계산법
EPS =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 수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당기순이익으로 5억 원을 벌었고, 발행 주식 수가 50만 주라면?
5억 ÷ 50만 = 1,000원
즉, 주당 1,000원의 이익이 발생한 거죠.
예제
만약 A기업과 B기업이 있다고 가정해 보죠.
A기업: 순이익 10억 / 발행주식 100만 → EPS = 1,000원
B기업: 순이익 20억 / 발행주식 500만 → EPS = 400원
단순 수익은 B기업이 더 높지만, 주당 수익성은 A기업이 더 높아요.
그래서 EPS는 단순 이익보다 실질적인 가치 판단에 더 효과적인 기준이 되는 거예요.
EPS가 높으면 무조건 좋은가?
높은 EPS의 의미
EPS가 높다는 건 회사의 이익력이 좋다는 의미지만, 그게 항상 '좋은 투자처'라는 뜻은 아니에요.
예를 들어, 단기적인 호재로 수치가 튀어 오를 수도 있거든요.
주당순이익만 보고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
주당순이익만 보고 주식을 사는 건 눈을 감고 운전하는 거랑 비슷해요.
예를 들어, 한 번 수익이 크게 나서 수치는 높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 이건 위험한 투자예요.
주당순이익은 '과거의 성적표'일 뿐이에요.
미래까지 보려면 성장성, 시장 지위, 경쟁력 등 여러 요소를 함께 봐야 합니다.
투자 전략
EPS 증가 추세로 보는 성장성
3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면 그 기업은 좋은 성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뜻이에요.
단기 이익이 아닌 지속 가능한 이익구조를 갖췄다는 거니까요.
배당의 관계
배당을 주는 기업들은 대부분 EPS 중 일부를 배당금으로 사용해요.
그래서 EPS가 높고 꾸준하다면, 안정적인 배당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EPS의 한계점
일시적인 수익 증가로 인한 착시
가끔 기업이 부동산을 팔아서 일시적으로 큰 이익을 냈을 때, 수치가 확 튀게 되는데요.
하지만 그건 지속 가능한 수익이 아니기 때문에 착시에 불과합니다.
회계 조작의 가능성
주가순이익은 회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일부 기업은 비용을 뒤로 미루거나 수익을 앞당겨 의도적으로 수치를 부풀리는 경우도 존재해요.
그래서 항상 다른 지표와 함께 봐야 합니다.
함께 봐야 하는 지표들
PER (주가수익비율)
PER = 주가 ÷ EPS
이 비율이 높으면 주가가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이 있어요.
EPS가 높아도 PER이 너무 높다면 투자 시 다시 한번 따져봐야 해요.
PBR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를 회사의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이에요.
EPS가 높고 PBR이 낮다면, 성장 가능성이 있지만 시장에서 저평가받고 있을 수 있어요.
ROE (자기 자본이익률)
ROE는 자기 자본 대비 수익성을 보는 지표입니다.
EPS가 높고 ROE도 높다면 그 회사는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정리
EPS는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 가치, 배당 가능성을 동시에 판단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지표지만, 맹신해서는 안 됩니다.
퍼즐의 한 조각일 뿐, 나머지 조각(PER, ROE, 시장 전망 등)도 같이 맞춰야 진짜 기업 가치를 알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