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용어5

갭상승 갭하락 차트 속 투자 신호 갭상승, 갭하락: 차트 속 숨겨진 시장의 강력한 신호! 주식이나 코인 차트를 볼 때, 어제 종가와 오늘 시가 사이에 뻥 뚫린 공간을 본 적 있으신가요? 마치 점프라도 한 듯이 말이죠. 이 빈 공간을 우리는 '갭(Gap)'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시장의 강력한 심리와 중요한 정보가 반영된 결과예요. 특히 '갭상승'과 '갭하락'은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적인 차트 패턴이랍니다.갭(Gap)이란 무엇인가?특정 기간(주로 하루)의 종가와 다음 기간의 시가 사이에 가격이 비어 있는 현상을 말해요. 즉, 어제 장이 마감된 가격과 오늘 장이 시작된 가격 사이에 거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구간이 생기는 거죠.갭이 나타나는 이유 주로 장이 마감된 후 다음 장이 열리기 전까지, 해당 종목에 영향을 미칠 만한 매우 중요한.. 2025. 7. 3.
삼성전자 투자 분석 4대 핵심 지표 PER PBR EPS ROE PER (주가수익비율) – 지금 이익 기준으로 주가가 비싼가?PER = 주가 ÷ EPS (주당순이익) 현재 삼성전자의 PER은 약 17.3배입니다.우리나라 대표 대형 제조업 평균이 13~15배라는 걸 감안하면, 조금 프리미엄이 붙은 수준으로,“지금 이익만 봤을 땐 조금 비싸지만, 미래 실적 회복을 시장이 미리 반영하고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최근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찍고 돌아서는 분위기다 보니, 투자자들이 ‘앞으로 좋아질 거야’라는 기대감이 미리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것이죠.PBR (주가순자산비율) – 자산 대비 주가 수준은?PBR = 주가 ÷ BPS (주당순자산)삼성전자의 PBR은 현재 약 1.7배입니다.순자산 대비 1.7배라는 건, 자산 가치 그 이상으로 시장에서 평가받고 있다는 증거.. 2025. 6. 15.
ROA 총자산이익률 ROA는 "Return on Assets"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총자산이익률이라고 부릅니다.말 그대로 회사가 보유한 모든 자산(자기돈 + 남의돈 포함)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예요. 쉽게 말해, “내가 가진 모든 걸 동원해서 얼마나 벌었냐?”를 보여주는 거죠.공식은?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여기서 총자산은 부채 + 자본을 포함한 기업의 전체 자산을 뜻해요. 즉, 내 돈이든 빌린 돈이든 다 합쳐서 벌어들인 돈이 얼마인지 보는 거예요. ✅ 예시로 알아볼까요? 당기순이익이 2억 원총자산이 40억 원이면 총자산이익률은 (2 ÷ 40) × 100 = 5% → 이 회사는 자기 자산 100원당 5원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 거예요.ROA는 왜 중요할까?총체적인 경영.. 2025. 6. 14.
ROE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부릅니다. 한마디로 말해 “내 돈(자기자본)으로 얼마나 돈을 잘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즉, 내가 1억 원을 투자했는데 1년에 1,500만 원을 벌었다면 ROE는 15%가 되는 거죠. 사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굴리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경영 성적표 같은 역할을 해요.공식과 의미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예시어떤 회사의 당기순이익이 3억 원이고, 자기자본(=총자산 - 부채)이 20억 원이라면, 자기자본이익률은 3억 ÷ 20억 × 100 = 15% 즉, 회사는 자기 돈 100원으로 15원 수익을 낸 셈입니다.ROE는 왜 중요할까?단순히 돈을 벌었는지보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벌었는지를 보여줍니다.수치가 높은.. 2025. 6. 14.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식 초보자들이 PER 다음으로 자주 듣는 용어가 바로 PBR입니다.숫자만 보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꽤 직관적인 개념이에요.쉽게 말해, 회사가 가진 자산 대비 주식이 얼마나 비싸게 팔리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 to Book Ratio)는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로 계산됩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현재 주가 ÷ BPS 여기서 BPS(Book Value Per Share) 주가순자산가치는 회사의 순자산(자산 – 부채)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이에요. ✅ 예시어떤 기업의 순자산이 1,000억 원이고, 주식 수가 1,000만 주라고 해봅시다. 그러면 BPS는 1만 원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 회사의 주가가 20,000원이라면? PBR = 20,000.. 2025. 6.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