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기초3

데드크로스 기술적 분석 지표 데드크로스란?데드크로스는 기술적 분석에서 자주 쓰이는 개념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고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20일 이동평균선(단기)이 60일 이동평균선(장기) 아래로 떨어질 때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 말은 단기적인 하락세가 장기적인 상승세를 꺾고 하락 추세로 전환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죠. 왜 ‘데드’(Dead)인가?이름에서 느껴지듯, 이 신호는 긍정적인 의미보단 하락 전환 또는 추세의 종말을 암시하는 경고로 시장에서 심리가 위축되고 매도세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경계의 표시로 받아들여집니다. 특히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를 매매 신호로 활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거래량이 급변하거나 변동성이 커지는 경우도 많아요. 단순한 신호일뿐일까.. 2025. 7. 4.
ROA 총자산이익률 ROA는 "Return on Assets"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총자산이익률이라고 부릅니다.말 그대로 회사가 보유한 모든 자산(자기돈 + 남의돈 포함)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예요. 쉽게 말해, “내가 가진 모든 걸 동원해서 얼마나 벌었냐?”를 보여주는 거죠.공식은?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여기서 총자산은 부채 + 자본을 포함한 기업의 전체 자산을 뜻해요. 즉, 내 돈이든 빌린 돈이든 다 합쳐서 벌어들인 돈이 얼마인지 보는 거예요. ✅ 예시로 알아볼까요? 당기순이익이 2억 원총자산이 40억 원이면 총자산이익률은 (2 ÷ 40) × 100 = 5% → 이 회사는 자기 자산 100원당 5원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 거예요.ROA는 왜 중요할까?총체적인 경영.. 2025. 6. 14.
PER 주가수익비율 PER = Price to Earnings Ratio 즉,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부릅니다. 한 마디로 “이 기업의 주가가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또는 싼 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PER의 핵심 개념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쉽게 풀면: “이 회사가 지금 버는 이익을 기준으로 보면, 주가가 이익의 몇 배냐?”를 계산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요: 예시 1: A회사의 주가: 10,000원A회사의 1주당 순이익(EPS): 1,000원 PER = 10,000 ÷ 1,000 = 10 이 뜻은? “A회사는 1년에 주당 1,000원 이익을 내고 있고, 현재 주가는 10배 비싼 10,000원이다.” 즉, “이 회사를 사면 이익 기준으로 10년 뒤에 본전이다.” 이런 의미로 볼 수 있어요. P.. 2025. 6.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