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 이슈

기자 선행매매 금감원 수사 주식 압수수색

by 진돗개하니 2025. 7. 6.
반응형

금융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신뢰’입니다. 그런데 최근 이 신뢰를 한순간에 무너뜨릴 수 있는 사건이 터졌어요.

 

바로 언론사들이 ‘호재성 정보’를 미리 알고 해당 기업의 주식을 사들인 뒤, 기사를 통해 주가를 띄우고 매도해 차익을 챙긴 정황이 포착된 것인데요. 이게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조직적인 구조로 움직였다는 점에서 더 충격적입니다.

 

정보를 파는 사람이 아니라, 정보를 정제해서 사회에 전달하는 사람이어야 하는데 이를 이용해 돈을 벌었다?

그럼 그건 기자가 아니라 ‘정보 중개인’라 불러야 되겠죠.

기자 선행매매 금감원 수사 주식 압수수색
기자 선행매매 금감원 수사 주식 압수수색



기자 선행매매

금감원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약 20여 명의 전·현직 기자를 수사 중입니다. 이들은 주로 코스닥 상장사 및 일부 코스피 종목에 대해 영업실적, 신사업 계획 등의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여 해당 주식을 대량 매수한 뒤, 호재성 기사를 여러 차례 작성했습니다.

 

그 결과 당연히 주가는 급등했겠죠. 하지만 정보의 비대칭을 악용해 사전에 주식을 사들인 것 자체가 시장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호재 파악 → 매수 → 보도 → 매도’의 기자 선행매매로 급등한 주식을 팔아 수억 원의 차익을 남기기도 합니다.


금감원 수사 압수수색

KBS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일부는 이미 퇴사한 상태였고, 그동안 6배 이상 오른 종목도 있었다고 해요. 금감원 자본시장 특별사법경찰국은 금융투자상품 거래 내역과 보도 시점을 정밀하게 대조하고 있는데 자칫하면 단순한 기자 선행매매 수준을 넘어선 조직적 주가조작으로 번질 수도 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자본시장법 위반, 내부자 거래

현행 자본시장법 제178조는 누구든지 금융투자상품의 거래에 있어 ‘부정한 수단, 계획, 기교’를 쓰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공개 중요 정보를 이용한 거래는 형사처벌 대상이고, 이번 기자 선행매매는 이 조항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습니다.


기자는 기업 임직원과 가까이 지내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보를 입수하고 주식 거래를 하면, 그것은 곧바로 ‘내부자 거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미공개정보 이용 호재성 공시 후 주식 매도

무너진 언론 윤리, 사회적 배신

이 사건이 더 심각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언론 윤리'가 뿌리째 흔들렸기 때문이라고 할까요? 공익을 위해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임에도 그 공익을 이용해 사익을 추구해 오고 있었고 언론 개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상한 행태를 보여왔었죠. 이건 단순한 범죄가 아닌 사회적 배신이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들이 거래한 종목 중 일부는 1년 새 6배 이상 상승한 것도 있습니다. 단순히 장이 좋아서 그런 게 아니라 이들이 집요하게 관련 기사를 퍼부은 뒤 주가가 올라갔다면, 그건 명백히 인위적 개입이고 이쯤 되면 ‘주가조작’과 다를 게 없는 것이죠.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과 유사한 패턴

이번 기자 선행매매 사건을 보면, 최근 불거진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도 묘하게 닮아 있습니다. 정보를 먼저 알고 매수 → 시장에 긍정적 정보 유포 → 주가 상승 → 매도 후 차익을 실현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삼부토건 주가조작의 경우 언론인만이 아니라 정치권과 기업, 심지어 정부 정책까지 얽혀 있다는 점이죠.

기자 선행매매 금감원 수사 주식 압수수색
삼부토건 주가조작

 

일반 투자자들이 조심해야 할 것

우리는 종종 ‘호재성 기사’에 설레지만 이번 사건으로 인해 그런 기사조차 믿을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어떤 기사가 단순한 기업 홍보인지, 아니면 누군가의 시세차익 수단인지 구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언론 보도만으로 매수 결정을 내리는 건 이제 위험한 일이 되어 버렸습니다.

 

불가피한 제도 개선

가장 큰 문제는 내부통제의 부재입니다. 언론사 내부에서는 기자의 주식 거래를 감시할 장치가 없고 금융당국은 언론사의 ‘언론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언론인을 사각지대에 두고 있습니다. 결국 이들은 무풍지대에서 정보를 이용해 돈 버는 사람으로 변질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제라도 금융거래에 대한 관리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개인이 주식거래 시 사전 신고를 하도록 하고, 언론사 차원에서 차명계좌나 가족 명의 거래까지도 감시해야 합니다.

 

 

 

 

 

 

해외는 어떻게 하고 있나?

미국이나 영국은 언론인도 내부자 거래 규제 대상입니다. 특히, 금융 전문 기자는 엄격하게 관리되고, 주식 보유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기도 해요. 그만큼 ‘정보 접근자’는 시장 교란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한국도 더 이상 기자를 성역으로 둬선 안 됩니다.

 

마무리

기자가 시장을 조작하고, 기사를 도구로 돈을 번다면 그건 언론이 아니라 사기꾼입니다. 금융시장도, 언론도 국민의 신뢰 위에 서 있는 것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그 구조를 철저히 다시 들여다봐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공익을 빙자한 사익 추구는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반응형